K-컬처 이존영 기자 | K-민화연구소, 소장 이미형이 ‘K-민화, K-Folk Painting’이라는 이름으로 한국 민화의 정체성을 재정립하며 세계화를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이는 한국 전통 민화에 ‘K’를 접목해 세계 속에서 한국 고유의 민속미술을 구별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국제 미술계와의 연결고리를 마련하기 위한 전략적 명명이다. ‘K-민화, K-Folk Painting’이라는 표현은 한국 최초로 K-민화연구소가 공식 사용을 선언하며 시작된 개념이며, 단순한 용어를 넘어 문화 정체성과 국제 브랜드 구축을 위한 선언적 표현이다. K-민화, K-Folk Painting'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전통적으로 '민화'라는 단어는 한국의 민중이 그려온 생활 속 그림, 곧 '삶의 예술'을 뜻해왔으나, 이를 해외에 소개할 때 단어 자체의 의미가 직관적으로 전달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K-민화연구소는 'K-Folk Painting'이라는 보편적 영어 표현과 한국 고유성을 드러내는 'K'를 결합하여 세계 예술계에 새로운 기준점을 제시하게 되었다. 이 명칭은 단순한 용어 정리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이는 곧 “우리의 민화를 우리가 정의하겠다”는 문화주권적 의지의
K-컬처 김지은 기자 | K-민화 전문 작가 담화총사의 신작 『복사꽃 미소에 머문 사슴』이 한국 전통 민화의 길상적 상징과 현대적 감수성을 절묘하게 조화시키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번 작품은 복숭아꽃(복사꽃), 연꽃, 사슴 등 민화 속 대표적인 길상 소재를 통해 복福과 수壽, 평화와 생명의 메시지를 전한다. 담화총사는 이를 전통적인 소재 해석에 머물지 않고, 신화적 서사와 정적인 자연의 순간을 결합해 감성적으로 풀어내고 있다. 그림에 담긴 이야기는 ‘신과 인간의 경계가 열려 있던 아득한 옛 시절’에서 출발한다. 영원의 숲을 떠난 사슴 한 쌍이 인간 세상의 끝자락에 이르렀고, 그들이 도착한 곳은 연꽃이 피어나는 고요한 연못가다. 그곳에서 복사꽃은 마치 미소 짓듯 활짝 피고, 붉은 해가 떠오르며, 자연은 한순간 축복의 메시지를 전한다. 이 장면은 단지 시적인 풍경이 아닌,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이상향의 형상화다. 하늘에서는 물새가 내려와 노닐고, 모란과 국화, 파초와 조롱박까지 온갖 길상 식물들이 만개한 이 정원은 자연과 인간, 신과 생명이 하나로 어우러지는 순간이다. ▲ 복사꽃 아래 사슴이 머문 순간...K-민화로 피어난 평화의 서사 담화총사 作 작품 속 사슴
K-컬처 김학영 기자 | 외교저널 영문판 7월호 JPG전체보기
K-컬처 전득준 기자 | 미세한 모래알갱이 속에는 오랜 시간의 흐름들이 수많은 세월의 흔적들로 가득 담겨져 있다. 이런 모래라는 물리적 사물의 가치를 넘어 세월의 흔적과 시간의 영속성, 기억과 감정을 상징하는 정제된 삶의 실천미학을 투영하여 표현하고 있는 박계희작가 엠아트센터 초대 개인전이 8월 11일까지 엠아트센터(서울 송파구 중대로 80 문정프라자 2F)에서 열리고 있다. 적절하게 채우고 비우는 삶의 지혜를 품어 전국의 바닷가 모래 해변을 담아온 작가는 실제 모래를 사용하고 유화로 소주제들을 표현하는 실험적 시도로 <Into The Memory(기억 속으로)> 연작을 꾸준하게 선보여 왔다. <Into The Memory(기억 속으로)> 기억은 ‘사회 속에서 문화적으로 회상과 망각의 상호작용’으로 형성된다고도 한다. 작가는 ‘기억의 유기적 다양성’을 위하여 단순히 모래라는 재료를 차용하는데 그치지 않고, 모래의 기본 속성까지 되살려내고 있다. 마치 방금 물기가 빠져나간 듯 촉촉함이 그대로 남아있거나,물방울의 움직임들. 건강한 생명력으로 가득한 모래사장의 잔잔한 역동성들을 담담하게 화폭에 담아내고 있다. 작가는 “작품이 주는 익숙함과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