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컬처 이존영 기자 | 국내외를 넘나들며 현대미술의 정수를 보여준 김용모 작가의 제75회 개인전이 오는 8월 1일부터 30일까지 전라남도 진도현대미술관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진도현대미술관 기획초대전으로, “사는 이야기–화양연화花樣年華”라는 주제로 김용모 작가의 대표작들과 신작을 함께 선보인다. ‘화양연화花樣年華’는 인생에서 가장 아름답고 찬란한 시기를 뜻한다. 김 작가는 그 의미를 단순한 젊음의 찬미에 머물지 않고, 인간 존재의 진정성과 삶의 서사로 확장시켜 표현했다. 그의 화면 속 인물과 공간, 그리고 색채는 과거와 현재, 현실과 환상이 교차하는 미묘한 시공간 속에서 ‘사는 이야기’를 담담하면서도 깊이 있게 펼쳐낸다. 국제무대와 국내 화단을 넘나든 작가의 궤적 김용모 작가는 뉴욕대학교 대학원(NYU)에서 서양화를 전공하며 정통 현대회화의 이론과 실기를 두루 겸비했다. 이후 서울, 뉴욕, 동경 등지에서 개인전 74회, 국내외 단체전 800여 회 이상 참여하며 국제 미술계의 주목을 받아왔다. 그는 세계 여러 도시에서 한국 현대미술의 역동성과 정신성을 담은 작품을 선보이며, 예술 외교의 사명을 수행해왔다. 특히 2025년 K-컬처 대상, 위대한 100인 대
K-컬처 이존영 기자 | 서울 경복궁 북쪽 후원, 연못 한가운데 떠오르듯 자리한 육각 정자 향원정香遠亭은 조용한 아름다움으로 방문객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고종 때 조성된 이 정자는 ‘향기가 멀리 퍼진다’는 뜻처럼, 단아한 자태를 물 위에 드리우며 계절마다 다른 향기를 피워낸다. 연못 가장자리에는 연꽃이 피고, 향원정으로 이어지는 다리 취향교醉香橋는 고즈넉한 풍경 속에서 마치 옛 선비가 걸어갈 법한 길처럼 느껴진다. 1층 온돌 구조와 2층 누마루의 창살 너머로 바라보는 연못의 풍경은, 조선 왕실의 휴식처가 지닌 절제된 사치와 자연미를 그대로 전한다. 햇살에 반짝이는 물결, 연꽃 사이로 불어오는 바람, 그리고 정자의 지붕 위로 번지는 하늘빛. 향원정은 오늘도 그 자리에서, 조용히 옛 풍경을 품고 있다.
K-컬처 이존영 기자 | 양승욱 화백의 개인전 ‘소나무 연가 연작전 초대전’이 7월 16일부터 7월 28일까지 서울 종로구 인사동 "마루 아트센터"에서 개인전을 갖는다. 양승욱 화백의 작품 세계를 이번 초대전에서 다시 만나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었다. 양 화백의 작품 속의 소나무는 민족의 얼을 상징한다. 사철 내내 푸른 소나무는 예로부터 꿋꿋한 절개를 보여준다. 바람이 거센 험한 절벽에도, 메마르고 거친 광야에서도 군락을 이루는 소나무는 질긴 생명력에 있어서 상통하는 우리 민족과 삶과 질고를 같이 겪은 존재며, 자연과 인간 그리고 세상을 연결하는 매개체이다. 그것이 양 화백의 '한국인의 삶', 그 정서와 관념이 상통했던 것이다. ▲ 양승욱 화백 양 화백은 젊은 시절 일정한 색과 패턴이 반복되는 미니멀리즘으로 출발해 구상화로 옮겨온 케이스. 단색 추상화를 그려왔던 작가는 이제 정반대로 강렬한 원색을 써서 가장 한국적 풍경으로 불리는 솔밭을 그리고 있다. 그는 조금은 고즈넉한 화백의 작업실에서 그의 인상만큼 따뜻한 차를 들며 마주앉아 나즈막하면서 담담한 담론(談論)을 들었다. 양 화백은 "‘소나무(松)’는 ‘나’와 타인, 안과 바깥, ‘나’와 세상을 연결하는
K-컬처 이존영 기자 | 글로벌 K-팝 그룹 방탄소년단(BTS) 일곱 멤버 전원이 군 복무를 마치고 복귀함에 따라, 그룹의 완전체 활동 재개가 가시화됐다. 소속사 빅히트뮤직은 BTS의 멤버 슈가가 지난 21일 사회복무요원 복무를 마치고 소집 해제되며, 멤버 전원이 병역 의무를 끝마쳤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로써 2년간 이어졌던 군 복무로 인한 활동 공백은 사실상 마무리되었으며, 팬들과 대중의 기대 속에 BTS의 본격적인 재결합 행보가 시작될 전망이다. 외신도 일제히 이 소식을 집중 조명했다. 미국 AP통신은 "BTS 7명 전원이 군 복무를 마쳤다"는 제목의 기사와 함께, "K-팝 그룹 BTS의 복귀에 대해 알아야 할 것들"이라는 해설 기사를 통해 이들의 복귀가 "BTS 팬들에게 기념비적인 순간"이라고 전하며 올해 안에 그룹 활동을 재개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AP는 BTS가 데뷔 이후 세계적인 인기를 얻으며 K-팝의 위상을 국제 무대로 확장시킨 점과 미국 빌보드 차트 성과, 그래미 후보 지명 등 각종 기록을 상세히 소개했다. 아울러, 2018년 유엔 연설과 ‘러브 마이셀프(Love Myself)’ 캠페인, 흑인 인권운동 ‘Black Lives Matter’에
K-컬처 이존영 기자 | 외교저널과 K-컬처 등에 따르면, 이봉식 작가는 ‘지상전’이라는 사진전을 개최했으며, 관람자들이 각자 작품 제목을 상상해보는 형식의 전시를 선보였다고 합니다.
K-컬처 이존영 기자 | 주일 외교부 중남미국장은 지난 10일 서울 중구에서 열린 주한 쿠바대사관 개관식에 참석해 축사를 전하며, 양국 간 외교 협력의 새로운 이정표를 환영했다. 이번 개관식은 클라우디오 몬손(Claudio Monzón) 주한 쿠바대사와 아리엘 로렌소(Ariel Lorenzo) 쿠바 외교부 아태국장을 비롯해 주한 중남미 대사단 관계자들이 함께한 가운데, 현판식, 공식 인사말 및 축사, 리셉션 순으로 진행되었다. 이주일 국장은 축사에서 “오늘 주한 쿠바대사관의 공식 개관은 지난 1월 주쿠바한국대사관 개관에 이은 또 하나의 역사적 진전”이라며, “지난해 2월 한-쿠바 수교 이후 양국이 착실히 후속 조치를 이행해온 결과”라고 평가했다. 이어 그는 “주한 대사관의 개설은 양국 관계의 실질적 발전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것이며, 한국 외교부는 대사관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 지속적으로 협력하고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양국은 2024년 2월 수교를 공식화한 이후 외교 채널을 빠르게 정비하고 있으며, 이번 대사관 개관은 문화, 경제, 인적 교류 등 다방면에서의 협력 확대를 예고하고 있다.
K-컬처 이존영 기자 | 한국 도자예술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해석해온 신동문 작가가 2025년 6월, 서울 인사동 갤러리 라메르에서 개인전을 개최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작가의 도예 인생 40여 년을 집약한 작업의 결정체로, 조선백자의 고결한 미감과 현대적 감성을 담은 다채로운 도자 작품들이 선보일 예정이다. 1980년대 도예계에 입문한 신동문 작가는, 오랜 시간 조선 도자기의 전통을 바탕으로 한국 도예의 정수를 이어왔다. 특히 손물레 수공예 기법을 고수하며, 기계화 이전의 정밀한 전통방식을 통해 흙의 숨결과 장인의 혼을 작품에 오롯이 담아내고 있다. 이번 전시에 출품되는 대표작 〈매화병 세트〉(높이 30cm, 폭 20cm, 도자기, 2025) 는 조선백자의 단정한 선과 담백한 색조를 바탕으로 매화의 기품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작품으로, 전통과 현대를 잇는 작가의 예술세계를 상징한다. 뿐만 아니라 신 작가는 생업과 일상 속 쓰임을 위한 실용 도자도 함께 연구해왔으며, 대표적인 예가 분청 쌀독 시리즈다. 전통 기법에 현대적 감각을 더한 이 작품들은 도자의 실용성과 미감을 동시에 전달하며, 장식성과 기능성을 아우른 새로운 한국 도자미학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그의
K-컬처 이존영 기자 | 주한 벨라루스 대사관이 지난 24일, 대한민국 제2의 도시 부산에서 열린 「2025 부산세계시민축제(Busan Global Gathering 2025)」에 참가해 다채로운 문화 체험을 선사했다. 이 행사는 부산시와 부산글로벌협력재단이 매년 공동 주최하는 대표적인 글로벌 다문화 축제로, 올해도 30개국 이상에서 70여 개 기관 및 시민단체가 참여해 국제적인 열기를 더했다. 벨라루스 대사관은 축제장에서 자국의 가정식 전통 제과와 꿀 음료를 방문객들에게 제공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더불어 벨라루스의 역사와 문화, 관광지를 소개하는 전시 부스를 운영해 남녀노소 다양한 연령층의 관심을 끌었으며, 특히 국가 상징과 자연 풍경을 주제로 한 색칠공부 도안은 어린이들의 큰 인기를 끌었다. 이날 안드레이 체르네츠키 주한 벨라루스 대사는 부인과 함께 축제 개막식과 폐막식에 참석해 다문화 교류의 의미를 더했다. 부산시장과의 환담 자리에서 체르네츠키 대사는 “부산세계시민축제는 한국 사회의 포용성과 다양성을 보여주는 소중한 문화 플랫폼이며, 벨라루스 문화를 한국 시민들에게 직접 소개할 수 있어 매우 뜻깊은 시간이었다”고 밝히며 감사의 뜻을 전했다. 주한 벨라
K-컬처 이존영 기자 | 외교저널 영문판 5월호 JPG전체보기
K-컬처 이존영 기자 | 성라자로마을, 한센인을 위한 한국 최초의 구라사업기관으로 75년간의 여정을 걷다. 1950년 6월 2일, 한국전쟁이 발발하기 직전 경기도 광명리 신기촌에 한 작은 요양원이 설립되었다. 이름은 ‘성라자로요양원’. 이는 성경 속 한센병 병자였던 ‘라자로’의 이름을 따 지어진 것이며, 한국 천주교 최초의 구라사업기관으로 무의탁 한센병 환우들의 치료와 자립을 목적으로 출발했다. 이 요양원을 세운 이는 미국 메리놀 외방선교회(M.M.)의 조지 M. 캐롤 몬시뇰. 그는 한국 사회에 소외된 이들을 위한 보금자리를 마련하고자 했고, 전쟁과 가난, 차별 속에서 버려졌던 800여 명의 한센인들이 그의 뜻에 따라 모여들었다. 이듬해 1951년, 마을은 현재의 경기도 안성시 보개면 오전리로 자리를 옮기며 본격적인 복지마을로서의 기반을 다지기 시작했다. 그리고 1952년, 한 젊은 사제가 이 마을의 역사에 전환점을 가져온다. 이경재 알렉산델 신부(초대 원장)는 성라자로마을에서 30여 년을 헌신하며 한센인의 치료와 인권 회복, 자립 지원에 평생을 바쳤다. 그는 “마음이 먼저 치유되어야 몸이 낫는다”는 철학으로 의료·교육·신앙·문화 전반에 걸친 돌봄 시스템을